파이썬 기본

    [Python] Python 자료형(2): 문자열(String)형

    [Python] Python 자료형(2): 문자열(String)형

    [Python] 파이썬 자료형(2) 문자열(String)형 ​ ​ ​ 1. 문자열형 (String) ​ 문자열(String)이란, 말 그대로 문자, 단어 등으로 구성된 문자들의 집합을 말합니다. 다음 처럼요. ​ "Hello, My name is Limitless Model" 'L' "25" ​ 문자열형은 모두 큰 따옴표, 혹은 작은 따옴표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 ​ 그렇다면, 세 번쨰 "25" 는 앞서 배운 숫자형과 무엇이 다를까요?? ​ 💡숫자형 vs 문자열 속의 숫자 숫자형 25와, 문자열 속의 숫자 "25"는 무엇이 다를까요? 앞의 숫자형 25는 말 그대로 '숫자(정수)'로서의 25로 인식을 하고, 뒤의 문자열 속 25는 '문자'로서 인식합니다. 다음의 예를 보면 이해가 쉬우실 겁니다. ndum..

    [Python] Python 자료형(1) 숫자(Number)형과 연산자

    [Python] Python 자료형(1) 숫자(Number)형과 연산자

    [Python] 파이썬의 시작: 자료형(1) 숫자(Number)형과 연산자 ​ ​ ​ 숫자형 (Numher) ​ ​ 숫자형 자료는, 말 그대로 숫자 형태로 이루어진 자료입니다.  숫자형에는 크게 정수형, 실수형, 그리고 8진수와 16진수가 있습니다.   1) 정수형(Integer)  정수형이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듯이 음의 정수, 0, 양의 정수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말합니다.   어떠한 변수에 정수형 데이터를 대입하는 것을 통해 간단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 a = 25 >>> a 25  변수명이 a인 변수에 25의 정수값을 저장한 후, a를 출력해 보면 25가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 실수형(Floating-point)  실수형은 정수형과 달리, 소수점을 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