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 파이썬 자료형(4) 튜플(Tuple)형
튜플형 (Tuple)
튜플형은 앞서 배운 리스트형과 정말 유사하게 생겼습니다.
리스트형과 형태적으로 유사한 만큼, 리스트형과 어떤 점에서 구분하여 사용하는지 위주로 살펴보겠습니다.
1) 튜플(Tuple)형 vs 리스트(List)형
리스트형과 구분되는 튜플형의 속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소괄호로 둘러싼다.
2. 값의 생성, 삭제, 수정 등이 불가능하다.
우선 형태적인 면에서 대괄호[]로 둘러쌓인 리스트형과 달리, 튜플형은 소괄호()로 둘러쌓여 있습니다.
또, 기능적인 면에서 리스트형은 리스트 내부 요소들을 생성, 삭제 수정할 수 있지만, 튜플형은 불가능합니다.
두번째 차이점, 즉 값을 변화시킬 수 있는지 여부 가 리스트형과 튜플형의 가장 큰 차이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튜플형은 언제 사용하면 좋을까요?
튜플형은 값의 변화가 불가능하기에,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값의 변동이 없어야 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됩니다.
반대로, 수시로 값에 변동을 주어야 할 때에는 리스트형을 사용하는 것이 맞겠죠.
2) 튜플(Tuple)형의 형식 & 특징
튜플의 기본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정말 리스트형과 유사하게 생겼죠?
그렇다면,이 튜플형의 특징에 대해 조금 더 알아보겠습니다.
리스트형에서 봤었던, 익숙한 특징들이 보이는데, 몇몇 처음 보는 특징들이 눈에 띕니다.
우선, 2번쨰를 보시면, 튜플형에서 단 1개의 요소만을 가질 때는 요소 뒤에 콤마(,)를 반드시 붙여야 합니다.
또한, 4번쨰를 보시면, *튜플형에서는 *괄호를 생략해도 된다***는 특징을 지닙니다.
3) 튜플(Tuple)형 활용하기
1. 튜플형 인덱싱(Indexing), 슬라이싱(Slicing)
2. 튜플형 더하기
3. 튜플형 곱하기
4. 튜플형 길이 구하기
'언어)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Python 자료형(6): 집합(Set)형 (0) | 2022.05.08 |
---|---|
[Python] Python 자료형(5): 딕셔너리(Dictionary)형 (0) | 2022.05.02 |
[Python] Python 자료형(3): 리스트(List)형 (0) | 2022.05.01 |
[Python] Python 자료형(2): 문자열(String)형 (0) | 2022.05.01 |
[Python] Python 자료형(1) 숫자(Number)형과 연산자 (0) | 2022.04.28 |